본문 바로가기

일상

1종 대형 적성검사

올해 면허증 적성검사가 있는 해다.

1종 보통으로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

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1종 대형

면허를 땄었다. 좀 됐다. 근데 지금까지

1종 대형 면허가 쓸모가 없었고 앞으로도

1종 대형 면허는 필요 없을 것 같다. 1종 보통

으로도 충분할 것 같다.

 

인터넷 찾아보니 1종대형 면허의 적성검사는

온라인으로 신청이 안되고 면허시험장이나

지정병원에서 신체검사를 해야 한단다. OMG

1종대형을 1종보통으로 바꿀 수 없나?

아침에 병원 가서 간단한 검사 받았다. 시력 0.8이상

이어야 한단다. 여권용 크기의 사진도 한 장 필요하다.

비용도 5,000원 든다. 끝나고 근처 경찰서에 가서

검사했고 이상 없다는 서류 제출하니 기존 면허증

확인하고 시진 한 장 요구한다. 모바일 면허증 필요한지

물어보길래 필요 없다고 하고(모바일 면허증 하면 5,000원 추가)

16,000원 결제하니 2주 후에 찾으러 오란다.

 

어쨌든 2주 후에 새 면허증 찾으면 되는데 

다음에 할 때는 1종보통으로 할 수 있으면 좋겠다.

 

1종대형 적성검사 절차

1종 대형 운전면허 적성검사는 운전을 위한 신체적합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. 주로 시력, 청력, 색채 식별, 사지 운동 능력 등을 검사합니다.

1종 대형 적성검사 내용 및 기준:

 * 시력: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.8 이상이어야 하며,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.5 이상이어야 합니다. (교정시력 포함)

   * 주의: 한쪽 눈을 보지 못하는 경우 1종 대형 면허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. (1종 보통 면허는 다른 쪽 눈 시력 0.8 이상 등 별도 기준 충족 시 가능)

 * 색채 식별: 붉은색, 녹색, 황색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 * 청력: 55데시벨(dB)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. 보청기를 사용하는 경우 40dB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.

 * 운동 능력: 조향장치나 그 밖의 장치를 뜻대로 조작할 수 없는 등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신체상 또는 정신상의 장애가 없어야 합니다.

1종 대형 적성검사 준비물:

 * 운전면허증 (갱신 시): 기존 운전면허증

 * 신분증 (신규 시): 주민등록증 등 유효한 신분증

 * 컬러 사진 2매 (규격 3.5cm x 4.5cm): 6개월 이내 촬영한 무배경 사진

 * 적성검사 신청서: 운전면허시험장, 경찰서, 병원에 비치되어 있습니다.

 * 수수료: 적성검사 수수료 (일반 16,000원, 모바일 21,000원) 및 신체검사비 (시험장 내 신체검사장은 1종 대형/특수 7,000원, 병원마다 상이)

적성검사 장소 및 절차:

 * 전국 운전면허시험장: 시험장 내 신체검사장에서 바로 검사 후 민원실에서 접수 및 발급이 가능하여 시간이 단축됩니다. (단, 문경, 강릉, 태백, 광양, 충주, 춘천면허시험장 내에는 신체검사장이 없으므로 가까운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)

 * 경찰서: 신체검사 지정 병·의원에서 검사를 받은 후 경찰서 민원실에 접수해야 하며, 면허증 수령까지 며칠 소요될 수 있습니다.

 * 일반 병원: 도로교통공단에서 지정한 병원 또는 일반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검진 결과가 운전면허시험장이나 경찰서의 행정망으로 연동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   * 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내역서는 1종 보통 및 2종 면허에만 해당되며, 1종 대형/특수 면허는 별도의 신체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
적성검사 기간 및 과태료:

 * 1종 면허 소지자는 일정 주기마다 적성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 적성검사 기간은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 * 적성검사 기간을 경과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며, 만료일 다음 날부터 1년이 경과하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.

팁:

 * 방문 전에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(www.safedriving.or.kr)에서 미리 적성검사 사진 등록을 하거나,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예약을 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
 * 면허증 갱신 시, 건강검진 결과 내역이 있으면 신체검사 비용 일부가 할인될 수도 있습니다.

자세한 내용은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나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 
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공돈 같은 돈  (1) 2025.06.16
보이스피싱 조심하자  (3) 2025.06.04
처마 아래에 제비가  (1) 2025.05.26
몸이 반응하는 시기  (2) 2025.05.19
꼰대와 어른  (1) 2025.05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