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일상

보이스피싱 조심하자

오전에 일 보고 있는데 전화가 온다.

신청한 카드 배송 때문에 방문해도

되는지 물어보는 전화다.

카드 신청한 적 없다고 하고 끊어버렸다.

 

잠시 후에 혹시나 하고 카드사 고객센터에

전화해서 물어보니 내 명의로 발급된 카드는

없다고 한다. 당연히 신청하지 않았으니.

보이스피싱이란다.

 

아주 오래전에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은 적이 있다.

그때는 좀 어눌한 말투로 검사를 사칭한 전화여서

바로 알아차리고 장난을 좀 친 적이 있다.

요즘은 아주 자연스럽게 접근하는 것 같다.

 

내가 한 게 아니면 전화 끊고 별도로 확인이 필요한

것 같다.

이런 쓰레기 같은 놈들을 완전히 없애면 좋긴 하지만 

그건 현실적으로  불가능한 것 같고 조심하는 수밖에 없다.

 

 

보이스피싱은 날이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으므로,

항상 경각심을 갖고 예방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다음은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한 주요 방법들입니다.

1. 의심하고, 끊고, 확인하세요!

 * 낯선 전화나 문자는 무조건 의심: 돈을 요구하거나 개인 정보를 묻는 낯선 전화나 문자 메시지는 무조건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해야 합니다.

 * 전화를 끊으세요: 의심되는 전화를 받으면 바로 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 모르는 번호로 걸려온 전화가 공공기관이나 은행이라고 해도 일단 의심하고 전화를 끊으세요.

 * 해당 기관에 직접 확인: 전화 끊은 후, 상대방이 주장하는 기관(경찰, 검찰, 금융기관 등)의 공식 대표번호를 직접 찾아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하세요. 절대 사기범이 알려주는 번호로 다시 전화하지 마세요.

2. 개인 정보 보호에 각별히 유의하세요.

 * 개인 정보 절대 알려주지 마세요: 신분증 번호, 계좌 비밀번호, 공인인증서, OTP 번호 등 어떠한 개인 정보도 전화, 문자, 메신저를 통해 알려주지 마세요. 정부 기관이나 금융기관은 전화로 이러한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
 * 출처 불명의 URL 클릭 금지: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에 포함된 출처 불명의 URL은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. 악성코드가 설치되어 개인 정보가 유출되거나 파밍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 *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 안전하게 처리: 신분증 사본 등 개인 정보가 담긴 문서는 안전하게 보관하고, 폐기 시에는 반드시 파쇄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* 비밀번호 주기적으로 변경: 메신저, 이메일, 금융 서비스 등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, 복잡하게 설정하여 유추하기 어렵게 만드세요.

 *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 등록: 혹시라도 신분증 사본 등을 사기범에게 제공했거나 출처 불명 URL 클릭으로 개인 정보가 노출되었다고 판단되면, 금융감독원의 '개인정보노출자'로 등록하여 신규 계좌 개설, 신용카드 발급 등이 제한되도록 하여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.

3. 금융 거래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세요.

 * 저금리 대출, 정부 지원금 등 미끼에 현혹되지 마세요: "저금리 대출을 해주겠다", "정부 지원금이 나왔다"며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거나 수수료를 요구하는 것은 100% 보이스피싱입니다.

 * 가족이나 지인 사칭 금전 요구 시 반드시 본인 확인: 메신저나 문자로 가족, 지인이 돈을 요구하면 반드시 전화 통화로 본인 여부를 직접 확인하세요. 통화를 회피한다면 직접 신분을 확인할 때까지 송금하지 마세요.

 * 채용을 이유로 금융 정보 요구 시 의심: 취업을 빌미로 체크카드, 계좌 비밀번호, 공인인증서, OTP 등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보이스피싱입니다. 급여 계좌는 취업 후 본인 명의 계좌번호만 알려주면 됩니다.

 * ATM 지연인출 제도, 지연이체 서비스 등 적극 활용: 100만원 이상 현금 입금 시 30분간 자동화기기 인출·이체를 정지시키는 ATM 지연인출 제도나, 본인이 지정한 시간 이후에 송금되는 지연이체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 * 모르는 결제 문자 무시 또는 확인: 구매하지 않은 물품 결제 문자가 오면 무시하거나, 해당 은행에 직접 문의하여 결제 여부를 확인하세요.

 * 금융회사나 금융감독원 사칭 사이트 주의: 보안 강화, 정보 유출 확인 등을 명목으로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 사이트 주소의 정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4. 스마트폰 및 PC 보안을 강화하세요.

 * 모바일 백신 설치 및 주기적 검사: 알약M, V3 등 모바일 백신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예방하세요.

 *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차단: 스마트폰 설정에서 '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'를 제한하여 악성 앱 설치를 예방하세요.

 * 휴대폰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가입: 엠세이퍼(www.msafer.or.kr) 사이트나 PASS 앱 등을 통해 휴대폰 명의도용방지 서비스에 가입하여 본인 모르게 휴대폰이 개통되는 것을 방지하세요.

 * 소액결제 및 콘텐츠 자동결제 차단/한도 조정: 이용 중인 통신사로 소액결제 및 콘텐츠 자동결제를 원천 차단하거나 한도액을 하향 조정하세요.

 * 번호도용 차단 서비스 신청: 본인 번호로 웹사이트를 통해 문자 발송을 차단하는 서비스를 신청하여 피해를 예방하세요.

5. 피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세요.

 * 즉시 112 신고: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112에 신고하여 피해 대응을 시작하세요.

 * 거래 은행에 지급정지 신청: 사기범 계좌에 돈을 이체했다면 즉시 거래 은행에 전화하여 지급정지를 신청하세요.

 * 개인정보노출자 등록: 금융감독원 '금융소비자 포털 파인'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노출자 등록을 통해 추가 피해를 막으세요.

기억하세요!

 * 어떤 경우에도 전화나 문자로 금융 정보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
 * 세상에 공짜는 없으며, 달콤한 유혹은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
 * 급하게 처리하라고 재촉하거나, 특정 앱 설치를 요구하는 것은 보이스피싱일 확률이 높습니다.

항상 조심하고, 의심하고,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보이스피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

 
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공돈 같은 돈  (1) 2025.06.16
1종 대형 적성검사  (10) 2025.06.11
처마 아래에 제비가  (1) 2025.05.26
몸이 반응하는 시기  (2) 2025.05.19
꼰대와 어른  (1) 2025.05.02